국문요약: COVID-19 팬데믹 충격은 세계 경제성장률의 급락을 초래하고 한국경제가 당면해왔던 경제구조적 문제를 심화시켰다. 특히 중소기업소상공인자영업 등의 업력이 약화되고 산업기업간 충격의 편차가 커서 기업간계층간 K-자형 양극화가 심화되었다. 포스트코로나시대 한국경제가 일본과 같은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거시경제 연착륙, 산성 및 잠재성장률 제고, 저출산고령화 문제, K-자형 양극화와 청년실업, 그리고 디지털 경제 선도2050 탄소중립ESG 경영정착국가 재정건전성 등의 도전들을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. 이를 위해 피해취약 계층의 생산적 지원, 규제개혁 및 혁신, 노동시장의 유연, 노령층 민간 일자리 창출 강화, 저출산에 대한 통합적생애주기적 접근, 사적 연금강화, 균형적 에너지 전환정책, 혁신생태계 조성, 재정건전성 관리 강화 등을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.


핵심주제어: COVID-19 충격, 거시경제 안정성, K-자형 양극화